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PI (Process Innovation)란? PI (Process Innovation)란? 1. PI(프로세스 혁신)의 정의? PI(Process Innovation)는 조직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고객의 Needs를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 또는 Process를 적용하거나 도입하는 것입니다. 프로세스 혁신은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를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개선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사람과 프로세스에 의존하는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무언가를 생성할 때 발생합니다. 2. PI 사례? 예를 들어, 기존 생산 공정에 완전히 새로운 시퀀스를 도입하여(공정 혁신), 생산 속도를 100%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면 이것이 PI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프로세스.. 더보기 WBS 란?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란? (Work Breakdown Structure) _예시자료 첨부 [WBS란] 프로젝트 작업을 할 때, 해야 할 업무를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각각의 카테고리는 좀 더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누어서, 일정 및 진행사항을 체크하는 기법입니다. [WBS를 사용하는 이유] WBS를 통해 프로젝트의 범위를 알 수 있습니다. 스케줄에 따른 진척도, 업무의 선후관계, 어디에서 프로젝트 진행이 막혀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각 업무별로 담당이 할당되어 있어, 누구의 업무가 진척이 안 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전체 진행 사항에 대해 시각적 및 도식적으로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딜레이 되는 원인을 알 수 있어, 담당자들과 해당 사항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기가 쉽습니다. 어느 부분에 리소스 투입.. 더보기 내러티브 앤 넘버스 나는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가치평가 방법은 곧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가치평가 방법을 잘 활용하면, 본질가치 대비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고, 해당 주식에 투자를 하면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가치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책도 읽고, 강의도 들엇다. 그러나 공부를 하면 할수록 가치평가는 더 어렵게 느껴졌다. 그런 나에게 최근 읽은 "내러티브 앤 넘버스"라는 책은 가치평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뀌게 만들었다. 기업의 가치평가와 관련해서 두 가지 유형의 사람이 있다. 1)넘버크런쳐 : 숫자를 기반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과거의 실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2)스토리텔러 : 과거의 숫자보다 기업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향후.. 더보기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