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2021년 2월에 읽은 책 출간되자마자 yes24로 주문해서 읽었다. 이 책의 내용을 한줄로 요약하면 "온실가스 배출 년 510억톤에서 0으로 줄이는 방법"이다. 이 글을 쓰는 현재는 8월이다. 만약 몇년이 지나서 올해 8월까지를 기억한다면, 코로나 2년차 되던 해,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어 백신을 접종했던 해, 그리고 정말 더웠던 한해로 기억될 것이다. 올해는 유난히 장마도 짧았고, 비교적 더운 날이 많았다. 최근 몇년사이 날씨와 관련된 뉴스를 생각해보면, 10년만에 홍수, 20년만의 무더위, 가뭄 이런 뉴스들이 유난히 자주 나오는 것 같다. 이제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일상화된 느낌이다. 이 책은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구성] 1. 왜 제로 인가?.. 더보기
ISP 방법론 - 현황분석 ISP 방법론 - 현황분석 ISP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다음 세 단계로 구성된다. 1. As-Is 분석 2. To-Be 수립 3. Planing (실행계획 수립) As-Is 분석은 1)환경분석과 2)현황분석으로 구분된다. 이번 Post에서는 "현황분석"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아래 그림은 As-Is분석 中 현황분석 단계의 수행절차 이다. 현황분석은 전체 프로젝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대략 40~50%의 시간을 투여해야 한다. 현황분석 단계에서는 업무프로세스 분석과 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해, 이슈사항을 정리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한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문제점 및 이슈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As-Is 분석이 가장 중요하고 시간도 .. 더보기
ISP 방법론 - 환경분석 ISP는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 As-Is 분석 : 환경분석, 현황분석 2. To-Be 수립 : 미래모형정립 3. Planing : 실행계획 수립 위 내용은 ISP 방법론 및 수행절차 관련해서 계속 반복적으로 나올 내용이다. 이번 글에서는 As-Is 분석 中 환경분석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환경분석은 ①비즈니스 환경분석과 ②정보기술 환경분석으로 구분해서 진행한다. 아래 그림은 전반적인 환경분석 수행 절차를 잘 설명하고 있다. 환경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현황분석에 앞서 프로젝트의 목적 및 방향성에 대한 CSF을 도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프로젝트 수행기간 중 약 10~20%의 기간이 소요된다. ①[비즈니스 환경 분석] 목적: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정보화 전략 수립의 방향성이 되는 기회 및 위협.. 더보기
컨설팅 시장의 분류 컨설팅 시장의 분류 컨설팅을 크게 구분하면 다음의 네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전략컨설팅 : 경영전략 컨설팅, 재무/회계 컨설팅, M&A, HR컨설팅 등 2) 프로세스 컨설팅 : PI(Process Innovation),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3) IT컨설팅 : ISP컨설팅, IT거버넌스 컨설팅, 정보시스템 진단 컨설팅, IT인프라 컨설팅 4) 전문기술 컨설팅 : ITSM 컨설팅, ITO컨설팅, 보안 컨설팅 회사에서 본인이 어떤 조직에 속해 있고, 어떤 컨설팅을 받고 싶은지에 따라 위 내용에 맞게 컨설팅 펌을 찾으면 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따라 나름 유명한? 컨설팅 펌이 있다. 아래 링.. 더보기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②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② 지난번 글에 이어서, ISP 개요에 대해 설명합니다. ▶ ISP의 기대효과 왜 기업은 ISP를 수행할까요? 회사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해야 합니다. 변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략과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기업은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전략을 수립합니다. 그리고 매년 경영계획도 수립합니다. 또한 수시로 PI(Process Innovtion) 및 BPR을 추진합니다. ISP는 중장기 회사의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IT측면에서의 정보화 사업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 입니다. 결론적으로 회사는 생존하기 위해 전략을 세우고, 그러한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그런 계획중에 하나가 바로 ISP 입니다. ISP의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정보화 및.. 더보기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①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①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는 회사의 중장기 정보화 사업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경쟁력 유지 및 강화를 위해 중장기 전략을 주기적으로 수립한다. 그 기업이 속한 Industry에 따라 다르지만 기업마다 대략 2~5년마다 ISP를 시행한다. 참고로 사업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군에 속해있는 기업일수록 더 주기가 짧다. ▶ ISP는 크게 다음 세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1) As-Is 분석 2) To-Be 기획 3)실행계획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에 따르면, ISP를 진행할때 To-Be를 잘 만드는 것보다 As-Is 분석이 시간도 많이 걸리고 실제로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As-Is 분석을 통해 To-Be가 도출되.. 더보기
게임으로 배우는 파이썬 게임을 하면서 코딩을 배울 수 있으면 일석이조 아닌가요? 코딩을 마치 게임하듯 배울 수 있는 싸이트 2개를 소개해 드립니다. 1. 코드닷오알지 코드닷오알지(Code.org)는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기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 입니다. https://code.org/ 지금 배워서, 보다 밝은 미래를 건설하세요. CS는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중요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함께 건설해 봅시다. #CSforGood code.org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코딩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한글로도 제공되니, 대박 아닌가요? 어린이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게임을 제공합니다. 2. 코드 컴뱃 다음으로 소개해 드리는 싸이트느 코드 컴뱃(codecombat) 입니다. 생각보다 게임이 재미있습니.. 더보기
코딩은 꼭 필요할까? 코딩은 꼭 필요할까? 성인이 되고나서, 코딩을 배워야 할지 고민을 했던 적이 있다. 회사에 뜬금없이 파이썬을 열풍이 불었던 것이다. 대표이사님이 파이썬 강좌를 직접 들으시니, 그 아래 임직원들도 의무적으로 배울 수 밖에 없었다. 그 당시에는 의무적으로 배웠으나,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그 때 배운 코딩을 통해 나름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이 길러진 것 같다. 그 당시 처음 코딩을 배울때는 너무 막막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코딩을 배운다고 해서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았다. 하지만 그 때 배우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코딩을 꼭 일상생활에서 쓰지 않아도 상관없다. 코딩을 배우는 과정만으로 충분히 배울 가치가 있다. 아래 유튜브 동영상은 코딩을 왜 배워야 하는지를 너무나도 잘 설명해주고 있다. Code.or..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