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SP는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 As-Is 분석 : 환경분석, 현황분석
2. To-Be 수립 : 미래모형정립
3. Planing : 실행계획 수립
위 내용은 ISP 방법론 및 수행절차 관련해서 계속 반복적으로 나올 내용이다.
이번 글에서는 As-Is 분석 中 환경분석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환경분석은 ①비즈니스 환경분석과 ②정보기술 환경분석으로 구분해서 진행한다.
아래 그림은 전반적인 환경분석 수행 절차를 잘 설명하고 있다.
환경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현황분석에 앞서 프로젝트의 목적 및 방향성에 대한 CSF을 도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프로젝트 수행기간 중 약 10~20%의 기간이 소요된다.
①[비즈니스 환경 분석]
목적: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정보화 전략 수립의 방향성이 되는 기회 및 위협요인을 도출함 1-1) 외부 환경분석 기법 ▶PEST : Political(정치적, 법적 이슈), Economic(경제적 이슈), Social(사회적 이슈), Technology(기술적 이슈) ▶5-Forces : 기존 경쟁자, 잠재적 진입자, 대체재, 고객, 공급자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법 1-2) 내부 환경분석 기법 ▶Value Chain : 가치 사슬에 기반하여 내부 경영환경을 분석 ▶BSC (Balanced Scored Card) : 조직이 가지고 있는 전략을 BSC 체계에 맞추어 정리하고 측정함 *참고: PEST, 5-Forces, 벨류체인, BSC 기법은 각각을 설명하는데도 상당한 분량이라서, 별도 스터디가 필요함. |
②[정보기술 환경 분석]
목적: 정보기술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여 프로젝트에 적용 가능한 정보기술 및 적용시점을 도출함 2-1) 정보기술 환경분석 기법 ▶Gartner Top Stategic Technology Trend 를 활용 2-2) 벤치마킹 방법 ▶특정분야에 대한 선진사례를 참고하여 정보화에 대한 발전방향을 수립하는데 활용함 |
①비즈니스 환경분석과 ②정보기술 환경분석을 마쳤으면, 이제 그 내용을 바탕으로 SWOT분석을 시행한다.
[SWOT 분석]
SWOT분석을 통해 SO, ST, WO, WT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SWOT분석을 통해 CFS (핵심성공요인)을 도출 할 수 있다.
앞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경분석은 ①비즈니스 환경분석과 ②정보시스템 환경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SWOT분석을 하며, 이를 통해 CFS를 도출하는 과정이다.
다음 글에는 ISP진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인 현황분석 과정에 대한 글을 올릴 예정이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14.png)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그리고 괜찮으시다면 가볍게 광고 클릭 부탁드려요.
블로그 글을 쓰는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3. 컨설팅 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다라트,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 (계획표 양식) (0) | 2021.12.31 |
---|---|
ISP 방법론 - 현황분석 (0) | 2021.08.02 |
컨설팅 시장의 분류 (0) | 2021.08.01 |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② (0) | 2021.08.01 |
ISP(정보전략계획) 개요 ① (0) | 2021.07.31 |